• 2023. 7. 8.

    by. 미국주식 정복하기

    728x90
    반응형

    국민건강보험 금연 정보 및 금연 치료 지원 사업 알아보기

    썸네일

    국민건강보험 금연 정보 및 금연 치료 지원 사업 알아보기

     

     

     

    #1 담배의 해로움

    흡연자의 절반 정도는 대략 담배로 인한 발병으로 사망합니다.

    담배로 인해 전 세계에서 매년 6백만 명이 사망했고, 이 중 60만 명은 간접흡연으로 인해 사망합니다.

    간접흡연으로 인한 사망자의 대부분은 어린이와 여성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매년 5만 8천여 명이 흡연과 관련된 질환으로 사망합니다.

    흡연자는 비 흡연자에 비해 10-11년 정도 편균 기대 수명이 짧습니다.

    발생되고 있는 모든 암의 30-40%는 흡연이 주요 원인입니다.

     

    #2 담배의 유해 물질

    담배 연기는 5000종 이상의 화학 물질로 이뤄진 발암물질입니다.

    대표적인 유해성분으로는 타르, 니코틴, 일산화탄소가 있습니다.

     

    타르

     타르는 담배가 탈 때 생기는 끈적끈적한 점액 물질을 말하며, 각 종의 유해 및 화학 물질과 발암을 유발하는 물질을 함유하고 있습니다. 타르의 양에 따라 담배의 맛은 달라지며, 하루에 1갑 흡연할 경우, 1년에 대략 한 컵 정도의 타르가 몸에 축적됩니다.

     

    니코틴

     니코틴은 담배 중독의 주요 원인이며, 뇌에 도달하여, 일시적인 안락감을 제공합니다. 또한 흡연을 할 때에 빠르게 흡수되어 뇌까지 약 7초 만에 도달합니다. 니코틴의 농도가 낮아지면, 금단증상을 일으키기 때문에 금연을 어렵게 하는 물질 중에 하나입니다.

     

    일산화탄소

     일산화탄소는 산소 부족으로 인한 심장의 부담을 증가시키며, 산소와 적혈구 헤모글로빈의 결합을 방해하여 저산소증의 원인이 되는 물질입니다. 그렇게 때문에 대부분의 흡연자들은 만성 피로, 동맥 경화, 조기 노화와 같은 질병에 시달리기 마련입니다.

     

    #3 금연으로 인한 신체 변화

    금연 20분 이내 - 맥박과 혈압이 정상으로 돌아옵니다.

    금연 12시간 후 - 혈액 속의 일산화탄소와 산소의 농도가 정상으로 돌아옵니다.

    금연 48시간 후 - 후각, 미각의 능력이 증가됩니다.

    금연 72시간 후 - 호흡이 수월해집니다.

    금연 2주일 ~ 3개월 후 - 혈액 순환이 잘 되고 폐의 기능이 회복됩니다.

    금연 1 ~ 9개월 후 - 기침, 호흡 곤란이 줄어듭니다. 폐의 정화 기능이 향상되고, 감염 위험이 줄어듭니다.

    금연 5년 후 - 심장 마비 사망 위험이 비흡연자와 비슷한 수준으로 낮아집니다.

    금연 10년 후 - 폐암 위험이 흡연자의 절반으로 줄어듭니다. 또한 다양한 암 위험이 감소합니다.

    금연 15년 후 - 심혈관 질환의 위험이 비흡연자와 비슷한 수준으로 낮아집니다.

     

     

    #4  금연치료 프로그램

     금연치료 프로그램의 의료기관 및 약국, 지원 대상, 지원 내용, 지원 절차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의료 기관 및 약국(8주~12주 기간)

    금연 상담 + 금연치료의약품 또는 금연 보조제 처방 및 조제

     

    국민건강보험공단

    금연 참여자 등록(년 3회 허용, 2017.01.01 등록자부터)

    최대 6회 상담, 회당 4주 이내의 처방

    상담 1-2회 본인 부담 20%, 3-6회부터 본인 부담 없음

    인센티브 지금(본인부담환급)

     

    지원 대상

    금연치료 의료기관에 방문하여 금연치료를 희망하는 모든 국민(1년에 3차수까지 금연치료 지원)

     

    지원 내용

    8주-12주 동안 6회 이내 의사의 전문적인 진료 및 상담

    금연치료 의약품 구입 비용 지원

    금연보조제(니코틴패치, 껌, 사탕) 구입 비용 지원

     

    지원 절차

    의료기관 방문 - 금연치료 참여 등록 - 진료, 상담 - 금연치료 의약품(처방전/금연보조제/상담확인서) - 약국 방문 - 금연치료의약품/금연 보조제 구입

     

    #5  금연 치료 지원 금액 및 본인 부담금과 금연 참여자 인센티브

    금연 치료 지원금액

    1-2회 금연 치료 상담료 및 금연 치료 의약품 구입 비용의 80%(보조제는 별도로 정한 상한액 이내 지원)

    프로그램 모두 이수시 1-2회 본인부담금 환급

    3-6회 금연 치료 상담료 및 금연 치료 의약품 구입 비용 무상지원

     

    금연 참여자 인센티브

    금연치료 프로그램을 모두 이수한 참여자에게는 본인부담근 환급

    * 2019.01.01 부터 금연 치료 프로그램 참여자 대상 건강관리물품 지급제도 폐지

    이수 기준: 6회 상담 또는 처방 치료제별 투약 일수 만족

     - 부프로피온: 56일 이상 투약

     - 바레니클린: 84일 투약

     - 보조제(껌, 패치, 사탕): 84일 투약

     

    #6  국가 금연지원사업 안내

     국가에서는 전국 보건소 금연 클리닉, 국립암센터 금연 상담 콜 센터, 금연 캠프 및 찾아가는 금연지원서비스 등을 활영하여 금연을 적극 도와주고 있습니다. 전국 보건소 금연 클리닉은 2004년 10월부터 10개 보건소에서 시범 사업 이후 2005년에 전국 보건소로 확대되었습니다. 금연상담사가 6개월간 9회의 금연 상담 서비스를 제공해 주며, 호기 일산화탄소 측정을 할 수 있습니다. 또한 니코틴 대체체를 무료로 제공해 줍니다. 국립암센터 금연상담 콜 센터는 2006년 4월부터 시작되었으며, 등록 이후 상담사가 직접 전화하고 금연박스를 제공합니다. 금연 상담 콜 센터의 번호는 1544-9030입니다. 금연캠프 및 찾아가는 금연지원서비스는 전국 18개 금연지원센터에서 시행하며, 전액 무료입니다. 학교 밖 청소년, 대학생, 여성을 대상으로 6개월간 금연 상담서비스를 실시하고, 기관 소속 흡연자를 대상으로 1박 2일간 합숙형 금연지원서비스인 일반지원형 단기금연캠프, 중증고도흡연자 및 금연 실패자(개인)를 대상으로 4박 5일간 의료기관에서 합숙형 금연지원서비스인 전문지료형 단기금연캠프 서비스가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